본문 바로가기
일상의 정보

2026 기준 중위소득 6.51% 인상! 달라지는 복지 혜택 총정리

by 서인파파 2025. 8. 10.
반응형

 

기준 중위소득 인상이 발표됐습니다!
2026년에는 4인 가구 649만 원,
1인 가구는 256만 원으로 역대 최대폭 6.51% 상승했는데요.
이번 조정으로 생계·의료·주거·교육급여 문턱이 낮아져
저소득 가구의 복지 혜택이 크게 확대될 전망입니다.
어떤 변화가 있을지 함께 살펴보세요!

 

💰 기준 중위소득이란?

기준 중위소득은 전체 가구 소득의 중간값으로,
80여 개 복지사업 수급 기준이 되는 핵심 지표입니다.
매년 8월 1일까지 복지부가 중앙생활보장위원회 심의를 거쳐
고시하며, 생계급여 최저보장수준·건강보험 경감· 각종 바우처 지원 한도를 결정짓습니다.

 

📈 2026년 인상 폭 & 주요 수치

 

 

구분 2025년 2026년 증가율
1인 가구 239만 2013원 256만 4238원 +7.20%
4인 가구 610만 원대* 649만 4738원 +6.51%

*2025년 4인 가구 값은 6.51% 인상률로 역산한 참고치입니다.

 

1인 가구 인상률이 더 높아 청년·고령 1인 가구 지원폭이
확대됩니다. 또한 생계급여 최저보장수준은
4인 기준 207만 원, 1인 기준 82만 원으로 오릅니다.

① 생계·의료·주거·교육급여

생계급여 32% | 의료급여 40% | 주거급여 48% | 교육급여 50%
문턱이 그대로인 동시에 기준 중위소득 자체가 올라
수급 대상자 약 4만 명이 추가될 전망입니다. 

② 건강보험 & 각종 감면

기준 중위소득 60% 이하 가구는 건강보험료 경감,
난방·전기·통신 요금 할인, 에너지 바우처 등
다양한 공공요금 감면 혜택이 확대됩니다. 

③ 돌봄·양육·문화 바우처

아이돌봄서비스 본인부담 경감,
문화누리카드·청소년 교통비 지원 등도
중위소득 구간 인상에 맞춰 지원 한도가 상향될 예정입니다.

 

🔍 알아두면 좋은 제도 개선

청년 근로소득 공제 대상 확대 → 취업 청년 자산형성 지원↑
✔ 승합·화물차 & 다자녀 가구 자동차재산 기준 완화
✔ 정신질환 장기지속형 주사제 본인부담률 5%→2%↓ 등
복지 사각지대를 줄이는 추가 정책도 함께 시행됩니다. 

요약 : 2026년 기준 중위소득 인상은  더 많은 국민이 생계·의료·주거·교육 등 핵심 복지
혜택을 누릴 수 있는 기회가 됩니다.
해당 구간에 해당한다면 거주지 주민센터에서
꼭 자격 확인 후 신청하세요!

 

 

 

 

 

반응형